Design Thinking 방법론 - 3.Develop

STEP 1 : 새로운 솔루션 브레인스토밍하기

브레인스토밍은 조직적인, 운영상의, 혹은 기술적 제약에서 벗어나 생각을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번뜩이는 3가지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위해서는 대부분 어리석고 불가능해 보이는 100개 이상의 아이디어들이 필요하다.

① 이전 단계에 작성한 3~5개의 '어떻게 하면 OOO할 수 있을까'라는 기회문장을 준비한다. ② 사람들에게 브레인스토밍 규칙을 염두에 두도록하고 매우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도록 요청한다. ③ 사람들에게 기회표현에 관련된 장애목록을 작성하도록 요청한다. ④ 아이디어가 나오는 속도가 느려지면 사람들에게 워밍업하는 동안 나왔던 장애목록 중 하나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장려하거나 조사단계에서 작성된 이야기를 공유하며 생각을 촉진시킨다. ⑤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으면 새로운 기회영역으로 전환한다.

(1) 가장 흥미로운 아이디어 선택하기 
브레인스토밍 세션이 끝난 직후 몇 분간 시간을 내어 유사한 아이디어들끼리 그룹을 묵는다.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에 투표한다.

(2) 실현 가능성 확인하기 
아이디어가 추구하는 점 검토 : 어떤 점이 흥미롭게 하는가? 어떤 점들이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를 담고 있는가? 이 아이디어가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진짜 니즈는 어떤 것인가?
제약조건 나열 : 무엇을 빠트렸는가? 누가 이 아이디어에 반대할까? 이러한 제약조건들을 극복하는데 가장 어려운 것들은 무엇인가? 

(3) 아이디어 설명하기
아이디어 제목, 하나의 문장으로 아이디어 요약, 아이디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 아이디어를 만들고 사용하는데 관련된 모든 사람 이름,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니즈와 기회 설명,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가치와 혜택 설명, 도전과제 및 질문 목록화




STEP 2 :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프로토타이핑은 생각을 구추하는 것이다. 이것은 솔루션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어 더 나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1) 프로토타이핑이란
생각 구축하기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 현실적 측면에서 사람들이 그 컨셉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투박하게, 신속하게, 적절하게 만들기, 질문에 답하기 (프로토타입이 어떤 질문 - 적합성, 유용성, 편리성, 가능성 또는 타당성)에 대해 답하기 위한 것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2) 왜 프로토타입인가?
아이디어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내부적으로 컨셉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논의하고 외부적으로 컨셉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적합하다.

① 2~4명의 동료끼리 팀을 만들도록 한다. ② 각 팀이 브레인스토밍 보드에서 하나의 솔루션을 선택한다. (가장 열정적인 솔루션, 실현 가능한 솔루션, 극단적인 또는 장기적인 솔루션 중 1개를 각 팀이 선택) ③ 각 팀별 5분 동안 아이디어를 발표한다. 고객이 그들의 프로토타입에서 언급된 것 중에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여전히 가지고 있는 주요 의문점들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도록 니즈한다

※ 가치 제안 상상하기 : 아이디어 가치를 구축하기 위해 각가의 프로토타입마다 다음의 질문에 답해본다. 
- 누가 이 아이디어로 혜택을 보는가?
- 최종 고객에게 어떤 가치가 있는가?
- 다른 대안보다 이 아이디어가 왜, 어떻게 더 좋은가?
- 이것이 주는 이익이 그들에게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가?
- 그들이 이 가치와 혜택에 대해 얼마를 지불할 의사가 있는가?
- 어떻게 지불 비용을 마련할 것인가? 

※ 일반적인 프로토타입 형태
- 모델 : 2차원 아이디어가 3차원으로 살아나게 해준다
- 스토리보드 : 일련의 이미지 또는 스케치 작업을 통해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을 상상해 볼 수 있다.
- 역할극 : 구성원 또는 고객의 역할을 맡아 체험해 보면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최고의 감성적 경험을 해 볼 수 있다.
- 다이어그램 : 맵핑은 공간, 프로세스 또는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아이디어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험이 어떻게 변하는지 고려한다.



STEP 3 : 피드백 받기

솔루션 제안한 다음, 참가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다

(1) 피드백을 요청하는 방법 : 한가지 컨셉만 주어지면, 사람들이 평가하기 꺼려할 수 있다. 여러 컨셉들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으면, 사람들은 더 정직하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

(2) 누구의 피드백을 요청할 것인가 : 새로운 사람들과 이전에 이야기를 나눴던 사람들을 섞어서 요청한다. 컨셉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도록 한다. (최종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조, 설치, 서비스 제공, 유통, 소매업체 등)

(3) 어떤 질문을 할 것인가 : 각 프로토타입마다 피드백을 받고 싶은 적합성 또는 이용사례에 해당되는 3~4개의 질문을 준비한다.

① 팀원들이 자신의 솔루션을 참가자들에게 어떻게 발표할 것인지 준비하게 한다. ② 각각의 피드백 세션에서 일관된 형식으로 발표될 수 있게 솔루션에 대한 스크립트를 표준화하도록 팀들에게 요청한다 ③ 고객 그룹에게 피드백 세션을 소개할때 부정적일지라도 정직한 피드백을 원하는다는 것을 설명하고 팀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데 적은 시간을 투자했다는 설명하여 보다 솔직한 피드백을 받도록 한다.

※ 주의 : 피드백 받기 전에 아이디어를 완벽하게 하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솔루션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지 완벽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 참가자들에게 솔루션을 발표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가지 활용팁
 
- 아이디어를 판매하려고 하지 말라 : 솔루션의 장점, 단점 모두를 강조하는 중립적인 어조로 발표
- 그룹 크기를 다양하게 하라 : 많은 인원의 그룹 (10~15명)에게 솔루션들을 발표한 후, 보다 심도있는 대화를 위해 솔루션 하나당 한그룹이 되도록 작은 그룹들로 나눈다.
- 즉석에서 적합하게 변경한다 : 핵심 아이디어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하는 솔루션의 한 측면이 분명히 드러나면 자연스럽게 이 부분을 제거하거나 변경한다.
- 참가자들에게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달라고 요청한다 : "이 서비스는 한 개인만이 구매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아니면 커뮤니티도 가능한가요?" 질문 -> "이 서비스는 커뮤니티가 구매해야 합니까? 아니면 개인이 구매해야 합니까?" "당신에게 더 나은 것은 무엇입니까?"

Case Study 1. 
인도 농촌을 위한 보청기 테스트
프로젝트 디자인 과제는 인도의 농촌 지역 보청기 사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가장 큰 장애물은 최소의 훈련을 받은 현지 기술자가 의료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진단 과정을 만드는 것이다. 초기 조사 시간동안, 팀은 보청기 보정과 관련된 제약사항들에 대해 알게 되었다. (보정 지침, 조청기 보정을 위한 기술자 장비, 기술자 훈련 교재 등을 포함한 프로토타입 과정을 개발하였다. 두명의 현지인을 하루동안 기술자로 훈련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이 기술자들이 마을로 가서 창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이 지침을 적용시키는 것을 지켜봤다. 

첫날 바로 지침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잠재 고객에게 이 테스트를 완료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기 때문이다. 팀은 즉시 절차를 단순하게 바꾼 다음, 새로운 기술자 두명에게 새로 단순화시킨 지침을 훈련시켰다. 세번째 단순화를 시도했고 마지막 테스트에서 절차가 충분히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피드백을 일찍 받으면 디자인을 개선하는 방법에 집중할 수 있고 인위적인 환경에서 알아내지 못한 디자인 상의 문제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